[fnCATEGORY]
[미분류]
[]
5df107d93a2a31da5db05d0e
2
2
active
[미분류]
큰조롱., Cynanchum wilfordii (Maxim.) Hemsl., 1889 (생약명:백수오
( 2 판 )

약용 식물 |
구분 | 내용 |
이름 | 큰조롱., Cynanchum wilfordii (Maxim.) Hemsl., 1889 |
분류 |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> Magnoliopsida 목련강 > Gentianales 용담목 >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> Cynanchum 백미꽃속 |
구글 이미지 | 구글 이미지 |
생리 / 생태 |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생물종목록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전통지식포털 생약종합정보 |
문헌검색 | PubMed 논문검색 NDSL 논문검색 Google Scholar |
특허 검색 | NDSL 특허검색 |
링커아웃 | NCBI EMBL BOLD system Wikipedia Wikispecies
|
활용 | ▶덩이뿌리를 白首烏(백수오)라 하며 약용한다. ①이른 봄에 幼苗(유묘)가 아직 싹이 나기 전에 채취하거나 11월에 채취하는데 이른봄에 채취한 것이 품질이 좋다. 채취할 때에는 덩이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. ②성분 : 큰조롱의 덩이뿌리에는 cynanchol이 함유되어 있으며 强心配糖體反應(강심배당체반응)이 있다. ③약효 : 滋養强壯(자양강장), 補血藥(보혈약)으로 精氣(정기)를 收斂(수렴)하고 鬚髮(수발)을 검게 한다. 長期病(장기병)으로 인한 쇠약, 빈혈, 早白鬚髮(조백수발), 慢性風痺(만성풍비-만성의 遊走性 關節(유주성 관절), 류머티즘痛(통)), 腰膝酸軟(요슬산연), 神經性衰弱(신경성쇠약), 痔瘡(치창), 腸出血(장출혈), 양허구학, 오래된 궤양의 傷口(상구)가 아물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. 신선한 것은 潤腸(윤장), 通便(통변)하는 작용이 있어서 노인의 변비에 적합하다. ④6-12g을 달이거나 丸劑(환제), 散劑(산제)로 하여 복용한다. (출처: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)
|